본문 바로가기
암호 화폐 (Cryptocurrency)

이더리움 머지와 머지 이후 전망, 스테이킹 방법, ETHS와 ETHW

by 정보 수집가 2022. 9. 2.

안녕하세요. 정보 수집가입니다.

 

현재 암호 화폐 시장에서 엄청난 이목을 끌고 있는 사건이 있습니다. 바로 이더리움 머지입니다. 비트코인 다음으로 규모가 큰 코인이자, 전 세계에 수많은 이더리움 채굴자들과 사용자, 투자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더리움 머지는 암호화폐 시장 전체에 꽤나 큰 영향을 미치는 사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더리움 머지가 무엇인지, 머지 이후의 전망과, 이더리움의 새로운 채굴 시스템인 스테이킹 방법, 그리고 하드 포크 된 ETHS와 ETHW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더리움 머지 

  • 이더리움 머지란 이더리움의 기존 채굴 방식인 PoW(작업 증명) 방식에서 PoS(지분 증명) 방식으로 전환하는 걸 말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이더리움의 더 머지 (The Merge)는 이더리움 시스템과 네트워크의 업그레이드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기존 이더리움의 보안, 탈중앙화, 확장성, 에너지 소모량 등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머지를 진행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머지가 성공하고 나면 이더리움의 최종 목표인 4단계, PoS로의 최종 전환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더리움 자세한 내용과, PoW와 PoS 차이점

 

이더리움 총 정리, 전망, 댑(Dapp)

안녕하세요. 정보 수집가입니다. 오늘 글에서는 이더리움과 이더리움의 전망, 미래, 그리고 블록체인 기술계의 앱인 댑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이더리움 (Ethereum) 비트코인이 블록체인 기술

alzzainfo.tistory.com

 

  • 즉, 이번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기존 채굴 방식의 네트워크는 사라지고, 채굴 보상은 이더리움 채굴자가 아닌 스테이킹 홀더로 가게 됩니다. 
  • 머지는 두 단계로 나눠서 진행되게 되는데, 그 1단계가 벨라트릭스(Bellatrix), 2단계가 파리(Paris) 단계입니다. 1단계 벨라트릭스는 기존의 이더리움 메인 넷과 비콘 체인의 지분 증명 시스템과 병합하는 과정이고, 이는 한국 시간 기준 9월 6일 오전 11시 34분 47초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2단계 파리는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이 9월 10일 ~ 9월 20일에 완료될 것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완료 예상 날짜의 폭이 큰 이유는 최종 난이도 값(TTD)의 도달 시기가 네트워크 해시 레이트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네트워크 해시 레이트가 증가한다면 TTD의 도달 시기가 빨라지고, 반대로 감소한다면 TTD의 도달 시기가 늦어지게 됩니다. 2단계 파리의 완료되면 이더리움 머지는 성공적으로 끝나게 됩니다.

머지 이후의 이더리움 채굴 / 스테이킹

  • PoS 지분 증명 방식의 이더리움에서 이더를 채굴하는 방법은, 최소 32개의 이더리움을 보유하고 이를 담보로 검증인, 즉, Validator로 검증하면서 보상을 받게 되는데, 이를 스테이킹 이라고 합니다. 검증은 검증인들에게 랜덤으로 주어지게 되고, 검증을 완료하면 보상으로 이더리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보유하고 있는 이더리움의 개수, 즉 스테이킹 한 이더리움의 양이 많을수록 더 많은 이더리움을 보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 이더리움 공식 블로그에서는 개인이 32개의 이더리움을 보유하고 검증인으로써 활동하는 것을 제일 권장하고 있으나, 개인이 32개의 이더리움을 가지고 스테이킹 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과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스테이킹 풀을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풀링 서비스를 이용하면, 개인이 32개의 이더리움을 보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스테이킹을 하고 그에 따른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LiDo가 스테이킹 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스테이킹 풀을 제외하고도 코인베이스와 같은 거래소에서도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거래소에 중앙 집중화돼있는 방식으로 스테이킹 하는 것이기 때문에 네트워크가 공격이나 버그에 취약해질 수 있다고 이더리움 공식 블로그에서는 말하고 있습니다.

머지 이후의 이더리움의 변화와 전망

  • 머지가 성공하게 되면 기존 채굴 방식에서 사용되던 전기 소모량, 에너지 소모량이 99% 이상 감소하게 되며, 채굴되는 이더리움의 총량은 약 90% 감소하게 됩니다.
  •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은 2023년에 예정되어 있는 샤딩(Sharding) 도입을 통해서 최소한의 노드로 더 쉽게 실행이 가능해지고, 확장성 확보, 이더리움의 느렸던 거래 속도 개선 등을 전망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다른 코인이나 토큰에 비해서 높았던 거래 수수료도 최대 50분의 1까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이더리움 머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시각과, 부정적인 시각, 우려의 목소리 등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머지 이후에 줄어든 채굴량으로 인한 가격 상승, 스테이킹을 위한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서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시각이 있는 방면, 이전의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 하드 포크 때와 같은 공격이나, 시세차익 실현 매물 들로 인해서 가격이 하락하는 거 아닌가 하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 이더리움 머지의 성공 여부와, 그에 대한 시장의 반응에 따라서 이더리움의 향후 방향성이 정해질 것이고, 어떻게 흘러갈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수많은 암호화폐 시장 참가자들과 투자자들이 주시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하드 포크 / ETHS와 ETHW

  • 이더리움 머지를 반대하는 사람들도 존재합니다. 반대 세력의 대부분은 작업 증명 방식으로 채굴하던 채굴자들입니다. 이더리움 채굴자들은 머지 이후엔 전과 같은 방법으로 코인을 채굴할 수 없게 되고, 그렇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중국 최대의 이더리움 채굴자 챈들러 궈를 포함한 여러 채굴자들과, 이더리움 머지를 반대하는 사람들이 기존의 작업 증명 방식, PoW를 유지하고자 하드 포크를 함으로써 탄생한 코인이 ETHW입니다. 그렇게 이더리움 내에서 ETHW 하드 포크를 찬성하는 사람들과 반대하는 사람들 간의 갈등이 현재 진행 중에 있습니다.
  • 하드 포크로 인해서 이더리움은 두 종류, ETHS(Ethereum PoS)와 ETHW(Ethereum PoW)로 쪼개지게 됩니다. 이는 이더리움 클래식에는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며, 대부분의 댑(Dapp)과 같은 시스템은 ETHS로 갈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아직 머지가 진행 전이기에 머지 이후에 시장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해서 오늘은 이더리움 머지와, 머지 이후의 전망과 방향성, 스테이킹 방법과 하드 포크 된 ETHS와 ETHW 등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에서 일어나는 대규모 업데이트이자 이더리움이 워낙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코인이기 때문에 더더욱 주목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긍정적인 시각만 있다면 좋겠지만 분명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사항들에 주의하셔서 포지션을 취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