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보 수집가입니다.
오늘 글에서는 이더리움과 이더리움의 전망, 미래, 그리고 블록체인 기술계의 앱인 댑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이더리움 (Ethereum)
비트코인이 블록체인 기술을 최초로 구현해낸 1세대 암호화폐라면, 이더리움을 흔히 2세대 암호화폐라고 말합니다. 이더리움은 대학을 중퇴한 러시아 출신의 캐나다인 비탈릭 부테린이란 사람에 의해 최초로 개발되었습니다. 그는 19세의 나이로 이더리움 설계도 백서(A Next-Generation Smart Contract and Decentralized Application Platform)를 2013년에 발간하고, 2015년에 이더리움을 출시했습니다.
이더리움은 쉽게 말해서, 블록체인 기술을 여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한 기술입니다. 비트코인은 암호화폐의 단순히 거래 내역만 저장하지만, 이더리움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화폐 거래 내역과 여러 가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게 만들어졌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프로그램 코드란, 스마트 계약을 말합니다. 스마트 계약이란 합의 프로세스를 자동화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코드에 적힌 계약 조건이 만족되면 그 즉시 알고리즘에 의해 계약이 성사되게끔 하는 것입니다. 스마트 계약은 비트코인에서도 가능했으나, 그 범위가 너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이더리움은 차세대 스마트 계약이라 불립니다.
비트코인은 작업 증명(PoW : Proof of Work) 방식의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PoW란 작업을 하고, 그 작업에 따른 보상을 코인으로 받는 시스템입니다. PoW 시스템은 채굴하기 위해서 많은 컴퓨터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들어가는 전력 사용량, 탄소 배출량이 과하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더리움도 PoW에서 시작했지만, 현재 지분 증명(PoS : Proof of Stake)으로 전환 중입니다. 이더리움 프로젝트의 4단계 중에서 현재 3단계에 위치해 있습니다. PoW에서 PoS로의 완전한 전환은 이더리움의 최종 목표로서 4단계입니다. PoS 시스템은 PoW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나온 것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코인의 양에 따라 이자처럼 코인을 보상받는 시스템입니다. 이더리움은 현재 PoW에서 PoW로의 최종 전환인 이더리움 머지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머지 정보
이더리움 머지와 머지 이후 전망, 스테이킹 방법, ETHS와 ETHW
안녕하세요. 정보 수집가입니다. 현재 암호 화폐 시장에서 엄청난 이목을 끌고 있는 사건이 있습니다. 바로 이더리움 머지입니다. 비트코인 다음으로 규모가 큰 코인이자, 전 세계에 수
alzzainfo.tistory.com
댑 (Dapp : Decentralized App)
블록체인 기술과 스마트 계약을 활용한 대표적인 예시로 2017년에 출시된 크립토 키티(KryptoKitties)라는 게임을 들 수 있습니다. 크립토 키티는 고양이 펫을 키우고, 수집하고, 교환하는 게임입니다. 크립토 키티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만들어진 게임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해왔던 일반적인 게임과는 조금 다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플레이하는 게임 상의 아이템들은 엄밀히 말하면 아이템 보유자의 소유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내가 어떤 게임상의 아이템을 가지고 있다 해도, 불법적인 복제, 해킹을 당하거나, 게임 회사가 망해버리면 내 아이템은 소멸하게 됩니다. 그러나 크립토 키티의 경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NFT 형식으로 만들어진 게임이기 때문에, 내가 가진 고양이 펫들은 평생 나만의 재산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익명의 사용자와 1:1로 어떠한 앱이나 플랫폼의 사용 없이 스마트 계약에 의해서 거래가 됩니다. 이러한 특성들로 인해 출시와 동시에 엄청난 인기를 끌었습니다.
크립토 키티와 같은 앱을 탈중앙화 앱, 줄여서 댑(DApp : Decentralized App)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더리움은 개발자들이 개발한 댑을 올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개발자들이 개발한 앱을 올리는 앱스토어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더리움은 단순 화폐뿐만이 아니라, 하나의 플랫폼 역할까지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을 금에, 이더리움은 석유에도 비교한다고 합니다. 많은 토큰들이 이더리움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용되고 있고, NFT 시장도 이더리움에서 시작돼서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돌아가고 있으며, 나날이 규모가 커져가고 발전해가는 블록체인, 암호 자산 시장에서 이더리움은 필연적인 코인입니다.
※ 암호화폐는 크게 코인과 토큰으로 분류되는데, 코인은 고유의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플랫폼, 즉 메인 넷을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하고, 토큰은 자기만의 메인 넷이 없이 다른 코인의 플랫폼을 이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같은 블록체인 기술이지만 토큰이 메인 넷을 새로 만들면 코인이 되는 겁니다. (코인이 되기 전 단계 = 토큰.)
이번 글에서는 이더리움의 탄생 배경과 원리, 가능성, 댑, 비트코인과의 차이점 등등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더리움도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가장 대표적인 가상자산 중에 하나이고, 비트코인보다 발전 가능성이 훨씬 더 크다고 생각되기에 투자 가치도 충분히 있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이번 글은 여기서 마무리하도록 하고, 다음 글에서는 NFT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암호 화폐 (Cryptocurrenc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파이란? 디파이 코인 종류와 전망까지 (1) | 2022.09.17 |
---|---|
Payeer 사용 방법과 업비트로 코인 보내기 (Feat. 리플 출금 실패) (1) | 2022.09.12 |
이더리움 머지와 머지 이후 전망, 스테이킹 방법, ETHS와 ETHW (0) | 2022.09.02 |
NFT 총 정리, 전망 (Non Fungible Token) (2) | 2022.08.28 |
암호화폐 원리와 비트코인 전망(Feat. 블록체인) (3) | 2022.08.26 |
댓글